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4

주택 취득세의 납부의무자와 주택의 취득시기, 취득세 계산방법 주택을 취득하면 취득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되는 취득세를 납부해야 해요. 【주택 취득세의 납부의무자와 취득세를 내야 하는 경우, 주택의 취득시기】 # 주택 취득세의 납부 의무자 어떠한 방식으로든 주택을 취득한 사람은 취득세를 납부해야 해요. 주택을 취득 후 등기나 등록을 하지 않았다고 해도 사실상 취득했다면 납부 대상자에 해당한답니다. # 주택의 취득세를 내야 하는 경우와 주택의 취득 시기 1. 첫 번째, 매매로 주택을 유상 취득했을 때에요. 개인끼리 주택을 매매했다면 계약상 잔금을 지급한 날이 주택의 취득일이 되는 것이 원칙이에요. 만약에 잔금을 지급한 날짜가 명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약일로부터 60일이 지난날을 취득일로 보아요. 등기일이 잔금지급일이나 계약일보다 빠르면 등기일이 취득시기가 되고.. 2021. 12. 16.
연말정산 시 교육비 공제 대상과 항목 및 한도액 본인, 배우자, 직계비속(자녀), 형제, 자매가 교육을 받으며 지출한 교육비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은 연말정산 시 공제가 된답니다. 단, 직계존속(부모)이 지출한 교육비는 공제되지 않아요. 【연말정산 교육비 공제대상 항목과 한도액】 # 국내에서 지출한 교육비의 경우 1. '본인'이 대학(방송통신대학, 사이버대학 포함), 대학원, 학점은행제, 독학 학위 취득 교육 과정, 직업 훈련 과정에서 지출한 교육비(입학금, 수업료, 기타 공납금), 학자금 대출 원리금 상환액은 전액이 공제대상이에요. 하지만 직장에서 학자금을 비과세로 보조받았다면 이는 공제대상이 아니랍니다. 또한, 대학원 교육비의 경우 공제대상은 본인에만 한정된다는 점도 꼭 참고하세요. 2. '영유아, 유치원생, 취학 전 아동'이 어린이집, 보육시설.. 2021. 12. 15.